운영체제9 메모리 구조 (코드, 데이터, 힙, 스택 영역) 단순히 코딩만 하던 지난날을 반성하며, 더 좋은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기초부터 이해하며 정리해보려고 한다. -목차- 1. 메모리 2. 코드(code)영역 3. 데이터(data) 역역 4. 힙(heap) 영역 5. 스택(stack) 영역 6. 오버 플로우 7. 코드 예시 1. 메모리 위 그림과 같이,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OS)가 프로그램의 정보를 메모리에 로드 해야 한다. 프로그램의 실행은 두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던 실행파일이 메모리에 적재된다는 의미 프로그램이 CPU를 할당받고 명령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 파일 시스템에 있는 실행 파일이 메모리에 적재될 때, 실행파일 전체가 메모리에 올라가지 않는다. 일부분만 메모리에 올라가고 나머지는 디스크의 특정역역인 스왑 .. 2022. 1. 2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