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8 Hash Table 1. Hash Table이란 특정한 값을 Search 하는데 데이터 고유의 인덱스로 접근하게 되므로 average case에 대하여 Time Complexity 가 O(1)이 되는 것이다.(항상 O(1)이 아니고 average case에 대해서 O(1)인 것은 collision 때문이다.) 그래서 특별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장할 데이터와 연관된 고유한 숫자를 만들어 낸 뒤 이를 인덱스로 사용한다. 특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인덱스는 그 데이터만의 고유한 위치이기 때문에, 삽입 연산 시 다른 데이터의 사이에 끼어들거나, 삭제 시 다른 데이터로 채울 필요가 없으므로 연산에서 추가적인 비용이 없도록 만들어진 구조이다. 2. Hash Function 위에서 언급한 '특별한 알고리즘'을 hash method 또는 .. 2022. 2. 14. TCP와 UDP의 비교 -목차- 1. UDP(User Datagram Protocol)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3. TCP와 UDP의 비교 1.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이다. IP 데이터그램을 캡슐화하여 보내는 방법과 연결 설정을 하지 않고 보내는 방법을 제공한다. UDP는 흐름제어, 오류제어 또는 손상된 세그먼트의 수신에 대한 재전송을 하지 않는다. 이 모두가 사용자 프로세스의 몫이다. UDP가 행하는 것은 포트들을 사용하여 IP 프로토콜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종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짧은 요청을 보내고, 짧은 응답을 기대한다. 만약 요청 또는 응.. 2022. 2. 14. [TCP]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목차- 1. 3 Way Handshake(연결 성립, Connection Established) 2. 4 Way Handshake (연결 해제, Connectino Termination) 3. SYN Packet, ACK Packet, FIN Packet 1. 3 Way Handshake(연결 성립, Connection Established)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는 SYN M 패킷을 보낸다. 서버는 클라이언트 요청인 SYN M 을 받고 클라이언트에 요청을 수락한다는 ACK M+1과 SYN N이 설정한 패킷을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수락 응답인 ACK M+1과 SYN N 패킷을 받고 ACK N+1을 서버로 보내면 연결이 성립한다. 2. 4 Way Handshake (연결 해제, Con.. 2022. 2. 13. OSI 7계층, TCP/IP 4계층 1. OSI 7 계층 이란? OSI 7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1.1 OSI 7을 나눈 이유는?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문제를 관리하기 쉬워진다. 1.2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단지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계층이다. 즉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진행한다. 이 계층에서는 단지 데이터를 전달만 할 뿐 전송하려는(또는 받으려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에러가 있는.. 2022. 2. 10.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2 다음